본문 바로가기
Architecture/건축산업기사

[건축산업기사] - 건축구조

by 치즈와 오레오 2023. 2. 21.
728x90
반응형
SMALL
  • 등가응력 블록의 깊이 ( a )

       - 응력 블록의 깊이 : a = ( As x Fy ) / ( 0.85 x Fck x b )

       - As : 인장측 철근량

       - Fy : 철근의 인장강도

       - Fck : 콘크리트의 압축강도

       - b : 철근의 인장강도

 

  • 양단 연속 보 부재에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보의 최소 두께

       - L / 21

 

  • 최대 전단 응력도

       - 직사각형 : ( 3 / 2 ) x ( V / A )

       - A : 단면적

       - V : 전단력

 

  • 편심거리

       - 직사각형 = (보의 폭) / 6

 

  • 전단변형도 ( e )

       - e = △L / L

 

  • 양단고정 보의 휨 모멘트

       - Ma = ( P x a x b2 ) / L2

 

  • 인장재의 순단면적 (An)

       - An = ( h - 3d + (S2 / 4g)) x t

       - h : 부재의 높이

       - d : 구멍의 직경

       - g : 구멍의 간격 (높이)

       - S : 구멍의 간격 (폭)

       - t : 부재의 두께

 

  • 원형강봉의 단면적 (A)

       - A = P / (허용인장응력)

 

  • 탄성처짐

       - 처짐은 탄성 계수에 반비례 한다

 

  • 슬래브 유효폭 (be)

       - 양쪽 슬래브의 중심간 거리

       - 보 경간 x 1/4 

       - 위에 두개 중 작은 값이 슬래브의 유효폭

 

728x90
반응형
LIST

댓글